목록분류 전체보기 (161)
나의 IT일지

포인터란 변수의 주소를 저장하는 공간이다. 즉, 포인터는 변수의 주소를 저장하는 것 뿐이지, 저장하는 값이 변할 수 있는 변수라는 것이다. 그래서 포인터도 연산이 가능하다. 포인터 연산 주소는 정수같아 보이지만 자료형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특별한 값이기 때문에, 자유롭게 할 수 없고 정해진 연산만 가능하다. 포인터의 연산은 더하거나 빼기만 가능하며, 두 개의 포인터를 더할 수 없다. 즉, 곱셈,나눗셈은 불가능 하며, 서로 다른 포인터를 더할 수는 없다. (포인터명을 ptr로 한다.) 연산 가능 연산 불가능 ptr = ptr + 1 ptr = ptr + 2 ptr++ ++ptr ptr-- --ptr ptr = ptr*2 ptr = ptr/2 ptr = ptr1+ptr2 #include void mai..

Linux란 개발자가 개발을 할 때 사용하는 운영체제이다. 이때, 운영체제는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하는지, Linux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운영체제 운영체제란 사용자가 컴퓨터의 시스템 자원(CPU, 메모리(하드웨어 자원), 메일, 파일(소프트웨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컴퓨터를 안전하고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작업할 수 있도록 환경제공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일종으로,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window, mac과 서버운영에 사용하는 linux가 그 예시이다. 특징과 목적 운영체제는 주로 사용자와 하드웨어간의 인터페이스(시스템이나 장치들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로 동작하고, 응용프로그램(Chrome, 카카오톡, 워드 등)이 안정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특징을 가지고 ..

C언어는 컴퓨터의 메모리 주소를 이용해 메모리 안에 기억되어 있는 값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언어이다. 즉, 컴퓨터안의 메모리 주소에 접근이 가능하며, 그 안의 값을 제어할 수 있다. 게다가 같은 변수명을 사용하더라도 함수나 실행문이 다르면, 변수의 주소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변수가 된다. 그래서 함수에서 다른 함수의 변수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소를 사용한다. 포인터 포인터란 변수의 주소를 저장하는 공간으로, 변수를 사용할 때 변수의 이름이 아닌 주소로 접근하기 위해 사용한다. 포인터형 * 포인터변수명; 위의 구조는 포인터를 선언하는 구조식으로, 포인터 변수에 변수의 주소를 저장할 때 사용한다. 이때 포인터형은 포인터 변수를 통해 변수에 값을 저장할 때, 포인터 변수가 ..

배열이란 변수를 묶어놓은 저장공간으로, 1차원 배열과 다차원 배열이 있다. 배열은 모든 요소가 같은 자료형을 가지며, 요소가 연속적으로 나열되어 있으며, 메모리에 물리적으로도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변수와 달리 배열은 요소의 숫자로 저장공간을 불러 올 수 있기 때문에 반복문에 사용하기 좋다. 배열 컴퓨터는 데이터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선 메모리에 변수를 선언해서 변수에 값을 저장한다. 그런데 이러한 변수도 데이터를 1개만 저장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많은 데이터값을 다루기 때 my-it-diary.tistory.com 다차원 배열 다차원 배열에는 배열을 요소로 가진 배열로, 비슷한 데이터 값들을 구별해서 저장할 때 주로 사용된다. 종류로는 평면적(행,열)으로 저장하는 2차원 배열과 입체적(행,열,면..

컴퓨터는 데이터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선 메모리에 변수를 선언해서 변수에 값을 저장한다. 그런데 이러한 변수도 데이터를 1개만 저장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많은 데이터값을 다루기 때문에, 많은 데이터를 한 번에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배열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 배열이라는 존재이다. 배열이란 같은 자료형을 가진 여러 개의 변수를 이어놓은 형태를 가진 변수의 묶음으로, 같은 변수를 사용하여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때에 사용한다. 배열의 종류로는 1차원배열과 다차원배열이 있는 데, 여기에선 1차원 배열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자료형 배열명[요소 개수]; 위의 구조는 배열의 선언 방법으로, 어떤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 선언하는 자료형, 배열의 이름인 배열명, 배열에 몇 개의 ..

함수 수학에서 함수란 두 집합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개념으로, f(x) = x+y 같이 왼쪽엔 함수명, 오른쪽엔 수식인 형식을 가지고 있다. 프로그래밍에서도 똑같이 함수라는 개념을 사용하는데, my-it-diary.tistory.com 함수란 나열된 여러 명령어의 묶음으로, 자주 사용하는 명령을 묶어놓고 이름만 호출하는 것으로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사용한다. 함수를 사용할 때에는 3개의 순서가 있는 데, 함수를 사용하겠다고 컴파일러에게 발표하는 함수선언, 함수를 사용하는 함수호출, 함수를 제작하는 함수정의가 있다. 함수는 반환형(돌려줄 값(리턴값)의 자료형), 매개변수(전달하는 값을 저장하기 위한 변수), 실행문, return문(값을 호출한 곳으로 반환하는 분기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함수와 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