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61)
나의 IT일지

구조체는 여러 개의 자료형을 가진 변수를 모아놓은 자료형으로, 구조체형을 가지고 만든 변수는 일반 변수와 같이 메모리 주소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포인터를 통해 구조체의 주소를 저장할 수 있다. 포인터란 주소를 저장하는 변수로, 주소를 통해 저장공간에 접근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구조체 포인터 구조체 포인터는 구조체와 포인터의 합성어로, 구조체 변수의 주소를 저장하는 변수를 말한다. 하지만 구조체 포인터는 일반 포인터나 배열포인터와 차이점이 존재한다. 일반 포인터나 배열 포인터는 변수, 배열의 주소를 저장하기 때문에 증감연산자로 변수를 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구조체 포인터의 경우, 구조체형을 가진 변수의 주소이기에 증감연산자로 내용에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구조체 변수에 연산자를 사용하면..

구조체는 배열과 같이 변수의 집합이지만, 변수는 같은 자료형을 가진 변수의 집합인 저장공간으로, 하나의 속성에 여러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때 사용한다. 하지만 구조체는 다른 자료형인 변수여도 하나의 집합으로 만든 자료형으로, 여러 속성을 가진 대상의 데이터를 저장, 관리할 때 사용한다. #include #include void find(char*); //선생님의 신상정보(이름 주소 전번 강의과목 생일)를 구조체로 저장 struct teacher { char name[11]; char address[30]; char tel[11]; char lesson[20]; long birth; }; void main() { char name[100]; int a; printf("이름 입력:"); scanf("%s..

우리는 배열을 통해 변수를 묶어서 데이터를 관리한다. 배열같은 경우는 같은 자료형의 변수만 묶어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데이터의 자료형이 다른 변수를 한번에 묶어서 관리해야 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예를들면, 어느 선생님들의 이름과 성별, 전화번호나 주소등등 개인정보를 저장할 경우, 서로 다른 배열을 만들어서 저장해야한다. #include #include // strcmp함수를 사용하기 위한 헤더파일 void find(char*); void main() { char name[100]; int a; printf("이름 입력:"); scanf("%s", name); find(name); } void find(char* find_name){ char* name[] = { "이창호", "김성주", "..

동적 할당 메모리란 프로그램의 실행 도중, 할당 받은 메모리로, 정적 메모리를 사용하면 메모리의 낭비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적 메모리 할당 1 일반적으로 변수나 배열은 소스코드에서 코드나 배열을 생성해두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순간 사용할 메모리의 크기를 고려하여 메모리에 주소가 할당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를 정적 메 my-it-diary.tistory.com 동적메모리는 "stdlib.h"안에 있는 "malloc()"함수를 사용하여 메모리를 실행 도중에 생성 하는 것 "malloc()"함수는 주소값이 결과값으로 나오기 때문에, 포인터에 저장해서 사용해야 한다. 즉 "포인터 = (포인터형*)malloc(sizeof(자료형));"를 통해 포인터에 주소를 저장 malloc함수의 결과는..

서버를 공격하는 공격자는 서버를 공격해오면 기존에 있던 파일의 내용을 수정할 것이다. 만약 우리가 공격자가 수정한 파일의 내용을 찾지 못한다면, 서버는 공격자의 뜻대로 운영이 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막기 위해서는 우리는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파일/디렉터리 검색 명령어 find [경로] [옵션 1] ..... [옵션 2].... : 파일/디렉터리 검색하는 명령어 옵션 목록 응용 명령어 -name [설정값] : 이름으로 검색 -type [설정값] : 저장형태(자료형(f), 디렉토리형(d))로 검색 -size [설정값]: 데이터량으로 검색 -atime [설정값]: 접근 시간 변경된 자료 -mtime [설정값]: 수정 시간 변경된 자료 -ctime [설정값]: 모드 시간 변경된 ..

운영체제는 컴퓨터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환경으로, 디렉토리와 파일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우리는 Linux 운영체제를 사용하기 위해선, Linux에서 사용하는 디렉토리, 파일에 대한 기본 명령을 알아야 한다. 디렉토리 Linux에서의 디렉토리 구조는 root 디렉토리(/)를 최상위 디렉토리로 기준으로 하위 디렉토리를 형성하는 계층적 트리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디렉토리란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로, Window에서는 폴더라고 불린다. 디렉토리마다 사용하는 용도가 다르기에 디렉토리 이름을 보면 해당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들은 어떤 용도로 사용되는지 알 수 있다. / : 최상위 디렉터리(디렉터리의 시작), root사용자가 사용하는 디렉터리 /root/ : 최고 관리자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