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운영체제 (16)
나의 IT일지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라고 한다. 쉽게 말하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운영체제는 서버, 서비스를 제공받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운영체제를 클라이언트라고 한다. web: apache, IIS(windows에서만 사용) mail : sendmail, postfix, qmail name : BIND FTP: vsftpd, proftp, wu_ftp telnet: telnet SSH : ssh DB : MySQL, MariaDB etc : NFS, SAMBA .... 위의 리스트는 서버 프로그램을 기능별로 구분한 것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개별적으로 운영체제에 다운로드해야 하며, 설치하면 클라이언..
운영체제는 컴퓨터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면 서버가 되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 되어 있으면 클라이언트가 된다. 이때, 하나의 운영체제에 서버 프로그램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 되어 있으면, 서버이자 클라이언트가 된다. 서버 서버란 네트워크(TCP/IP)를 통해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또는 장치(하드웨어)를 의미하지만, 대체적으로 서버는 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운영체제를 말한다. 그리고 서버에게 서비스를 제공받는 컴퓨터 시스템이 있는데, 이를 클라이언트라고 하며, 클라이언트가 서비스를 요청하면 서버가 해당 서비스에 대해 요청을 받고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
Linux는 서버를 운영하기위해 사용되는 운영체제이기에, 여러 사용자가 서버를 이용하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권한을 구별함으로써, 보안의 강도를 높혀야 한다. 이때, 사용자의 권한은 소유권과 허가권으로 나눠진다. 파일/디렉토리의 속성 [유형][허가권]. [링크수] [소유자] [소유그룹] [수정일] [개체명] 유형 : 데이터의 형태 유형 - d l b c 의미 일반파일 디렉토리 심볼릭 링크 블록장치(하드디스크) 문자장치(스케너) 허가권 : 계정의 기능을 임의적으로 통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한하는 권한 [소유자][그룹][제3자] 3개의 구성으로 각각 3자리를 갖는다. 그래서 총 9자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자리에 r,w,x 순으로 출력이 된다. 퍼미션 종류 r w x 뜻 읽기 권한 ..
사용자는 계정이나 아이디를 통해 운영체제에 접속이 가능하다. 아이디(identifier)란 시스템을 사용가능한 식별자로, 시스템을 사용할 수는 있지만, 시스템을 생성이나 수정은 할 수 없다. 즉, 서버에게 아이디를 인증받으면, 서버를 사용할 수 있지만, 개발자처럼 수정은 불가능하다. 반대로 계정(Account)은 시스템에 들어갈 수 있는 관리자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은 물론, 시스템 서버를 생성, 수정을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이때, 계정에도 상하관계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만들어 지는 사용자 계정은 일부 권한만 가지고 있는 일반 관리자로, 시스템의 생성 및 수정이 제한적이다. 하지만 운영체제를 설치할 때 부터 존재한 사용자 계정은 최고 관리자이기 때문에, 모든 시스템의 생성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이..
네트워크 서버는 고정 IP를 사용해야 한다. 왜냐하면, 유동 IP를 사용하게 되면, 외부에서의 서버 진입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서버를 운영하는 운영체제(Linux server, windows server)는 고정 IP를 사용해야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고정 IP를 사용하는 것일까? IP주소의 이해 IP주소란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식별번호로, 기기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특수한 번호이다. 이 IP주소도 분류가 되는데, IP주소를 부여하는 장소에 따른 분류(공인IP 주소와 사설IP주소), IP주소의 변화 여부에 따른 분류(고정IP주소와 유동IP주소)가 있다. 공인IP주소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에 의해 회사나 개인에게 부여하는 IP주소이며, 사설IP주소는 AP(Address point, 공유기)에서..
서버는 전부 파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무수한 프로세스를 통해 운영이 된다. 그리고 파일과 프로세스는 디스크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하지만 서버를 운영하기에 사용되는 디스크(파티션)의 용량은 기하급수적으로 크다. 이때 서로 다른 디스크를 사용한다는 것은 파티션으로 나눠져 있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며, 파티션이 다르다는 것은 서로 다른 저장공간이라는 뜻이다. 그리고 파티션 간의 파일의 이동이 불가능하다는 것이기에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서버를 운영하기 위한 운영체제인 Linux에서 서버를 운영하기 위한 디스크나 파티션을 관리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Linux 파티션 위의 그림은 Linux에서 저장공간을 파티션으로 나누는 과정을 나타낸 그림으로, "primary 파티션", "ext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