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IT일지
라우터 본문
통신을 하기 위해서 컴퓨터와 컴퓨터는 네트워크로 연결이 되어 있어 있어야 한다. 이때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하나의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여러 개의 프로토콜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라우터가 필요하다.
라우터
라우터란 프로토콜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OSI 3계층 장비로, 브로드케스트 도메인을 나누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한다.
라우터에서 수신하려는 packet의 목적지 IP주소를 라우팅 테이블에서 확인하며, 해당 목적지 IP주소를 갖는 인터페이스로 전송할 수 있도록 경로를 결정한다. 이렇게 목적지 IP주소를 가지는 인터페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라우팅이라고 한다.
만약 라우터에서 라우팅할 때, 라우팅 테이블을 보고 라우팅 테이블에 packet의 목적지 IP주소가 있을 경우에는 해당 출발 인터페이스에서 packet을 전송시키며, 라우팅 테이블에 없을 경우에는 해당 packet은 드랍된다.
즉, 라우터는 packet이 목적지로 갈 수 있는 경로를 확인하고 경로중에서 가장 최적경로를 라우팅 테이블에 올리며, 결정된 경로대로 packet을 포워딩한다.
라우팅 작업
클라이언트가 요청데이터를 서버에게 보내면, 서버는 해당 요청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해야 한다. 그래서 양쪽 라우터에 데이터를 전송할 목적지의 subnet IP주소가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즉,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경로상에 있는 라우터들의 라우팅 테이블에는 해당 목적지의 네트워크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야 하며,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Subnet정보는 라우팅 테이블에 라우팅 작업을 통해 저장해야 한다.
라우터가 라우팅을 하기위해서 테이블에 해당 목적지의 네트워크 주소와 네트워크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래서 관리자가 해당 라우터에게 목적지의 IP주소를 알려준다. 이렇게 라우터가 모르는 IP주소를 알려주는 작업을 라우팅 작업이라고 하는데, 관리자가 직접 라우팅할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정적 라우팅과 라우팅 프로토콜이 라우팅할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동적 라우팅이 있다.
- show ip route : 라우팅 테이블 확인
Codes: L - local, C - connected, S - static, R - RIP, M - mobile, B - BGP
D - EIGRP, EX - EIGRP external, O - OSPF, IA - OSPF inter area
N1 - OSPF NSSA external type 1, N2 - OSPF NSSA external type 2
E1 - OSPF external type 1, E2 - OSPF external type 2, E - EGP
i - IS-IS, L1 - IS-IS level-1, L2 - IS-IS level-2, ia - IS-IS inter area
* - candidate default, U - per-user static route, o - ODR
P - periodic downloaded static route
Gateway of last resort is not set
1.0.0.0/8 is variably subnetted, 8 subnets, 2 masks
S 1.1.12.0/24 [1/0] via 1.1.34.1
S 1.1.23.0/24 [1/0] via 1.1.34.1
C 1.1.34.0/24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0/0
L 1.1.34.2/32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0/0
C 1.1.45.0/24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1
L 1.1.45.1/32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1
S 1.1.56.0/24 [1/0] via 1.1.45.2
S 1.1.57.0/24 [1/0] via 1.1.45.2
172.16.0.0/24 is subnetted, 4 subnets
S 172.16.10.0/24 [1/0] via 1.1.34.1
S 172.16.20.0/24 [1/0] via 1.1.34.1
S 172.16.30.0/24 [1/0] via 1.1.45.2
S 172.16.40.0/24 [1/0] via 1.1.45.2
S 192.168.10.0/24 [1/0] via 1.1.34.1
S 192.168.20.0/24 [1/0] via 1.1.34.1
S 192.168.30.0/24 [1/0] via 1.1.34.1
192.168.40.0/24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192.168.40.0/24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0
L 192.168.40.1/32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0
이때, 라우터에는 Metric값(경로 상의 네트워크를 모두 거쳐 지나가는데 할당되는 비용), AD값(라우팅 프로토콜마다 가지는 값)이 가장 작은 네트워크 정보만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된다.
라우팅 테이블 |
라우터가 최적 경로를 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테이블로,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와 출구 인터페이스를 대응하거나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와 경로상 다음 라우터의 IP 주소를 대응해서 어느 경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Static 라우팅 작업으로 설정했을 경우에는 라우팅 프로토콜 칸에 "S", 해당 라우터와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일 경우에는 "C", dynamic 라우팅 작업으로 설정했을 경우에는 사용한 라우팅 프로토콜이 출력된다. |
[라우팅 프로토콜]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 is directly connected, [출구 인터페이스] → 해당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를 가진 packet이 라우터에 도착하면, 해당 정보에 있는 출구 인터페이스에서 데이터가 전송된다. ex) C 1.1.34.0/24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0/0 |
[라우팅 프로토콜]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 [AD/metric] via [경유지(Next Hop)] → 해당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를 가진 packet이 라우터에 도착하면, 해당 정보에 있는 IP 주소를 가지는 다음 라우터로 packet을 전송한다. ex) S 1.1.12.0/24 [1/0] via 1.1.34.1 |